본 글에서는 리스트 함수의 슬라이싱 및 원소를 추가하고 제거 그리고 확장시키는 메소드의 대해서 살펴 봄
n = [1, 2, 3, 4, 5, 6, 7, 8, 9, 10] print(n) print(n[::2]) #홀수번쨰 출력할 떄 print(n[::-1]) #거꾸로 출력 n[0:1] = [] #n의 0번쨰 원소를 지우고 싶을 떄 del n[0] #n의 0번쨰 원소를 없애는 또 다른 방법 n[2:5] = [] #n의 2번째부터 4번쨰 원소까지 지우고 싶을 떄 print(n) n.append(100) #n 리스트의 마지막에 100이라는 원소를 추가하고 싶을 떄 n.insert(0, 1) #n 리스트의 0번째에 1이라는 원소를 추가하고 싶을 떄 n.pop() #n 리스트의 마지막 원소를 빼거나 가지고 오고 싶을 떄 n.pop(2) #n의 두번쨰 원소를 제거하거나 가지고 오고 싶을 때 n.remove(9) #n에서 2를 제거하고 싶을 떄 a = [1,2,3,4,5] b = [6,7,8,9,19] x = a+b print(x) a.extend(b) #a와 b의 리스트를 결합
'Python > Python 잡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기본 _ Dict(사전형 및 관련된 함수(메소드)) (0) | 2020.01.04 |
---|---|
Python 기본 _ List _2 (리스트 메소드 및 복사) (0) | 2019.12.22 |
Python 기본 _ 문자의 대입 및 f-strings (0) | 2019.12.15 |
Python 기본 _ 문자의 메소드 (0) | 2019.12.15 |
Python 기본 _ Print 함수 _ 2 (0) | 2019.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