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0년 5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2020년 5월 28일 한국 금통위가 열렸고, 한국은행 기준금리 25bp 인하했다(0.75% -> 0.50%). 역대 최저이며 조윤제 위원 제척, 6명 금통위원 만장일치로 결정된 사항이다. 5월 수정경제전망에서는 홀해 성장률을 -0.2%, 소비자 물가를 0.3%로 전망했으며 성장률의 경우 2월 전망대비 2.2% 하향했다. 역대 역성장은 80년(-1.6%), 98년(-5.1%)였으며 금융위기 당시(09년)는 0.8%였다. 한국은행은 할 수 있는 선제적이고 적극적 역활을 수행한다고 했으며 기준금리는 0.5%에서 실효하한 근접했다고 기자질문에서 답했다. KDI가 최근 경제전망에서 올해 성장률을 +0.2%로 전망한 것을 고려하면, 한국은행이 현 경제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이는것 같은 모습이며, 5월보다는 7월에 .. 더보기 20200528 시황 ( 금통위 & 인하 & 엄청난 플랫 & 직매입 관련 이슈 & 오늘을 잊지 말자.... 시장은 이렇게 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오늘을 잊지 말자.... 시장은 이렇게 변할 수 있다는 사실을.... 금통위 발표 전 10Y 선물금리는 기준금리 인하라는 소식과 함께 엄청 강했다. 정말 엄청 강했다. 이주열 총재의 매입관련 발언이 있기 전까지 10년 선물은 110틱 이상을 올라갔다. 그러다 총재의 미지근한 발언에 -29틱까지 밀렸다.... 결국엔..... 총재의 기대감이 있었기에 시장이 이렇게 움직인 것일까... 호가도 잡을 수 없을 정도로 시장은 급하게 밀렸으며 결국 스프레드는 41bp - > 47bp까지 상승했다... 선물 기준으로.... 이렇게 까지 움직이는 장을 보면서 많은 생각을 했다. 시장은 절대 내 생각대로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 시장은 이렇게도 움직일 수 있다는 것..... 시중에 나와있는 컨센서스, 애널리스트들의.. 더보기 20200504 시황 (예상과 어긋난 시장의 모습 & 49.5bp) 오늘 장은 당연히 플렛으로 예상했다. 미국이 다시한 번 중국에게 관세를 매길수 있다는 소식(트럼프과 중국이 코르나를 발생시켰다는 근거를 가지고 있다고 말하며 관세를 매길 수 있다는 옵션이 있다고 언급)과 함께 미국 주가 지수들은 다시 3%의 하락을 보였으며, 채권시장의 금리는 장기채 위주로 빠지는 플랫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2019년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으로 채권시장 강세 및 플랫이 되었던 모습을 보여줬기에, 오늘도 어김없이 플랫이라고 예상했다. 아침 장 시작전 예상호가는 10년을 기준으로 강세를 보였지만, 장이 시작되자마자 3년이 10년보다 강한 스팁을 보여줬으며, 10년도 처음에는 약해지다 강하지다 하는 횡보장의 모습을 보여줬다. 또한 한국 수출이 전년동기 대비 3%이상 하락(2009년 5월 이후 .. 더보기 20200409 시황 (한국 금통위 & 국채매입) 2020년 4월 9일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이미 50bp를 낮췄기에 이번 금통위에서도 인하를 할거라고는 다들 예상은 안했다. 소수의견은 역시 두명이였으며, 이 소식이 발표되자 또 국채 시장이 출렁이기는 했다. 하지만 이번 금통위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1. 아직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다른 나라들의 비해 충분히 여력이 있기 때문에, 상황이 더욱 안 좋아지면 충분히 인하할 수 있다. 2. 국채매입을 할 수 있다라는 가능성 ''' ㅁ 재정·금융·통화정책 실물경제·시장 효과 지켜보며 정책 판단 ㅁ 조동철, 신인석 0.25% 인하 소수의견 ㅁ 글로벌 리세션 가능성 높음 ㅁ 국내·세계 경제, 코로나19 전개 양상에 달려 있어 ㅁ 코로나19 2분기 중 진정 전제, 올해 국내 플러스 성장 ㅁ 증권사 대상 우.. 더보기 20200319~ 20200320 시황 (채권 금리 변동성 심화) 한국은 미국과의 통화스왑 600달러를 체결했다는 발표가 20200319 저녁에 발표가 되었고, 20일날 종가 기준으로 환이 39원정도 떨어졌다 19일 여전히 큰 폭으로 떨어지던 주가 지수는 20일날 통화스왑 체결이라는 발표때문이었는지 갭 상승으로 끝났지만, 그럼에도 외인은 5000억 정도 순매도를 진행했으며 개인과 기관이 그들의 물량을 받아주는 역활을 했다 왜 이러한 사태까지 발생했을까? .... 코르나로 시작된 이번 상황은 유가 급락이라는 악재까지 겹치면서 상황이 심각해졌고, 해외 증시 하락으로 증권사의 ELS 및 DLS의 낙인이 시작되면서 증거금 부족으로 마진콜이 발생했으며 그에 달러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각 증권사는 달러를 마련하기 위해 우선 담보로 가지고 있는 여전채 및 회사채를 매도하기 시작했고.. 더보기 20200318 (왕중의 왕 달러 & 기존 상식 & 재정정책(추경)) 기존의 상식 ..... 주식이 떨어지면 채권가격이 오르고, 달러도 좀 오르고 금도 오르고.... 하지만 아닌것 같다. 현재 전 세계 금리시장을 봐도 다 오르고 있다.... 아무런 소식도 없었는데도, 달러만 강세일뿐.... 현재 전세계 채권금리는 나라 불문하고 다 오르고 있다. 재정정책 때문일까.... 얼마정도의 채권을 발행할지 모르니(어느정도의 공급량이 나올지 모르니)사람들이 우선 팔고 보는건가.... 2020년3월18일 한국 국채시장도 처음에는 채권이 강하다가 갑자기 장 마지막에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더보기 20200317 시황(저점? & 계속?) 미 연준이 다양한 조치를 취했다. 회사들의 CP 매입부터 금리인하, 국채 및 MBS 매입 등.... 양적완화까지는 아니라고 언급을 했지만 그래도 다양한 조취를 취했다 17일 한국 채권시장은 그래도 강세로 마감했다. 10년 지표 및 선물이 그동안 3년에 비해 높았지만, 높았던 현상을 어느정도 되돌림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주 금요일 3월 13일 지표 10년 금리가 20bp이상 올랐던 모습을 보여줬는데, 거기에는 지난번 포스팅에서 언급했듯(3월9일~3월13일 주간 시황)에서 언급했듯 1. 달러 보유(현금화)현상으로 인한 모습들 때문에 그랬던건지, 2. 과도한 금리하락에 따른 채권시장의 고평가 현상 3. 통화정책 한계인식의 따른 재정확대에 대한 부담 때문인지 알 수는 없지만 달러가 여전히 강세인 상황에 따라 1.. 더보기 20200316 시황 ( 제로금리 & 50bp 인하 in BoK) 16일 아침 새벽..... 미국 FOMC에서 긴급회의를 열어 그나마 남아있던 기준금리 1%를 마저 내려 0%로 지정했고, 국채 및 MBS도 매수하겠다는 입장과 4월까지 하기로 한 Repo시장의 개입도 연장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여전히 양적완화의 대해서는 회의적이였다.... 그래서 그런가... 저번주 주말에 급등했던 미 증시는 다시 빠그라졌고..... 한국도 여전히 개인이 매수해서 아침에 장을 조금 올렸을뿐..... 외인과 기관의 매도에 하락장을 맞이했다 미국의 갑작스러운 기준금리 인하에 당연히 달러가 조금은 내려갈거라고 생각했다.... 왜냐면 미국이 기준금리를 내렸을 당시만 해도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1.25%였으니까.... (물론 저녁 6시 30분 ..... 한국도 50bp를 인하했다) 하지만 여전히 현금..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