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0년 5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2020년 5월 28일 한국 금통위가 열렸고, 한국은행 기준금리 25bp 인하했다(0.75% -> 0.50%). 역대 최저이며 조윤제 위원 제척, 6명 금통위원 만장일치로 결정된 사항이다. 5월 수정경제전망에서는 홀해 성장률을 -0.2%, 소비자 물가를 0.3%로 전망했으며 성장률의 경우 2월 전망대비 2.2% 하향했다. 역대 역성장은 80년(-1.6%), 98년(-5.1%)였으며 금융위기 당시(09년)는 0.8%였다. 한국은행은 할 수 있는 선제적이고 적극적 역활을 수행한다고 했으며 기준금리는 0.5%에서 실효하한 근접했다고 기자질문에서 답했다. KDI가 최근 경제전망에서 올해 성장률을 +0.2%로 전망한 것을 고려하면, 한국은행이 현 경제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이는것 같은 모습이며, 5월보다는 7월에 .. 더보기 20200528 시황 ( 금통위 & 인하 & 엄청난 플랫 & 직매입 관련 이슈 & 오늘을 잊지 말자.... 시장은 이렇게 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오늘을 잊지 말자.... 시장은 이렇게 변할 수 있다는 사실을.... 금통위 발표 전 10Y 선물금리는 기준금리 인하라는 소식과 함께 엄청 강했다. 정말 엄청 강했다. 이주열 총재의 매입관련 발언이 있기 전까지 10년 선물은 110틱 이상을 올라갔다. 그러다 총재의 미지근한 발언에 -29틱까지 밀렸다.... 결국엔..... 총재의 기대감이 있었기에 시장이 이렇게 움직인 것일까... 호가도 잡을 수 없을 정도로 시장은 급하게 밀렸으며 결국 스프레드는 41bp - > 47bp까지 상승했다... 선물 기준으로.... 이렇게 까지 움직이는 장을 보면서 많은 생각을 했다. 시장은 절대 내 생각대로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 시장은 이렇게도 움직일 수 있다는 것..... 시중에 나와있는 컨센서스, 애널리스트들의.. 더보기 20200504 시황 (예상과 어긋난 시장의 모습 & 49.5bp) 오늘 장은 당연히 플렛으로 예상했다. 미국이 다시한 번 중국에게 관세를 매길수 있다는 소식(트럼프과 중국이 코르나를 발생시켰다는 근거를 가지고 있다고 말하며 관세를 매길 수 있다는 옵션이 있다고 언급)과 함께 미국 주가 지수들은 다시 3%의 하락을 보였으며, 채권시장의 금리는 장기채 위주로 빠지는 플랫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2019년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으로 채권시장 강세 및 플랫이 되었던 모습을 보여줬기에, 오늘도 어김없이 플랫이라고 예상했다. 아침 장 시작전 예상호가는 10년을 기준으로 강세를 보였지만, 장이 시작되자마자 3년이 10년보다 강한 스팁을 보여줬으며, 10년도 처음에는 약해지다 강하지다 하는 횡보장의 모습을 보여줬다. 또한 한국 수출이 전년동기 대비 3%이상 하락(2009년 5월 이후 .. 더보기 20200316 시황 ( 제로금리 & 50bp 인하 in BoK) 16일 아침 새벽..... 미국 FOMC에서 긴급회의를 열어 그나마 남아있던 기준금리 1%를 마저 내려 0%로 지정했고, 국채 및 MBS도 매수하겠다는 입장과 4월까지 하기로 한 Repo시장의 개입도 연장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여전히 양적완화의 대해서는 회의적이였다.... 그래서 그런가... 저번주 주말에 급등했던 미 증시는 다시 빠그라졌고..... 한국도 여전히 개인이 매수해서 아침에 장을 조금 올렸을뿐..... 외인과 기관의 매도에 하락장을 맞이했다 미국의 갑작스러운 기준금리 인하에 당연히 달러가 조금은 내려갈거라고 생각했다.... 왜냐면 미국이 기준금리를 내렸을 당시만 해도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1.25%였으니까.... (물론 저녁 6시 30분 ..... 한국도 50bp를 인하했다) 하지만 여전히 현금..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