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nd

#5. 2019년 9월 및 10월 외국인 선물 매도의 관한 고찰(IRS/CRS) 여전히 풀리지 않는 고민이다. #1에서도 한국 시장의 국채 선물금리가 상승한 이유 중 하나가 외국인의 선물 매도였고, 선물 매도의 원인을 본드 스왑 스프레드의 언와인딩이라고 언급을 했었다. 왜 외인은 본드 스왑 스프레드 거래를 할까? 구지 CRS를 통해 원화를 공급받았으면, 그걸로 충분히 재정거래를 일이킬 수 있었을 텐데 .... 단지 벌어진 Bond Swap Spread 구간에서 수익을 내기 위해서 일까? 그거를 위해 원화 시장에 들어온거라고? 아직은 잘 이해가 안간다... 여기서 명확하게 집고 넘어가면 Swap Basis = CRS Rate - IRS Rate Bond Swap Spread = IRS - Treasury Rate 라는 것을 다시 한 번 머리속에 박아두고, 글을 적어가보자. 지난 201.. 더보기
#4. 20191101 ~20191108 채권시장 한주 시황(미국) 8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철회에 대해 결정된 것은 없다'는 언급에도 미국채 금리는 오히려 상승하며 2% 레벨을 위협했음. 이에 미국 10년 국채금리는 미-중 무역협상에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며, 이런식으로 계속 금리가 상승하는 다른 원인 무엇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음. 과거 사례를 살펴보아도 금리 상승시기는 경기가 저점을 뚫고 이제는 상승한다는 구간에서 이러한 양상을 보여 왔으며, 미-중 무역관계라는 이슈가 있어도, 이러한 이슈는 불합의가 아닌 합의점을 찾아간다는 인식과 함께 앞으로 발표될 경기 지표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것 같음. 물론 미-중 무역관계의 따른 이슈가 더 이상 채권시장에 큰 작용을 안 한다고 보장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2019년 초부터 채권시장을 .. 더보기
#3 . 2019년 10월 FOMC: 연준을 해석하기 위한 필요한 정보 1. 2019년 10월 FOMC - 2019년 10월 FOMC에서 파월의장은 또 한번의 금리를 인하 (1.75 ~ 2.00% -> 1.5 ~1.75%) 이번 금리인한까지 포함한다면 올 해 총 3번의 금리인하를 실시 한 것 - 파월의장은 기자회견 도입부부터 보험성 인하가 마무리되었음을 시사, 그는 통화정책은 시차를 두고 경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번의 보험성 인하가 경기, 물가 등에 끼치는 효과는 시간이 지나면서 확인될 것이고, 이에 충분히 ㅎ완화적인 효과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힘 - 3번의 금리인하를 마지막으로 생각하며, 2020년에도 특별한 이슈가 없는한 금리는 지속적으로 동결될 것이라 예상 - (이번 금리인하는 금융시장에 그렇게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듯 하다. 이미 시장에 예상한 결과와 .. 더보기
#2. 2019년 한국 3Q GDP의 시사점 - 3Q GDP 2.0%로 예상 하회 한국의 2019년 3분기 성장률은 전년대비 2.0%(전기대비 0.4%)를 기록하여 시장예상치(2.1%)를 소폭 하회 하지만 대부분의 경제 애널리스트들의은 3분기 성장률이 전망치를 하회한 것은 일시적인 요인이라고 판단. 정부 부문의 건설지출이 2분기에 비해 감소한 영향 및 8월까지의 재정지출 진도율은 73.4%로 높았으나, 2019년 1분기 사례처럼 실제 지출까지는 시차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 하지만 4분기에는 소비 및 정부 부문의 이연된 지출이 정상화되며 성장률도 기존 전망보다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 또한 한국경제가 기존의 성장 경로를 유지할 것으로 판단하는 주된 이유는 4Q 이후 수출 회복 가능성. 서비스 수출은 3분기 중 전년대비 15.5% 증가했으며, 재화수출.. 더보기
#1. 2019년 10월 넷째주 이슈 및 시황 10월 넷째주 채권시장은 전반적인 금리 상승 및 스티프닝 이였다 그 이유 중 첫번쨰는 외국인 국채선물 대규모 매도 채권시장에서는 외국인이 국채선물 매도를 하면서 국고3년 및 10년 금리가 7bp, 9bp 상승한 1.45%, 1.69%로 마감했다. 물론 외국인이 아닌지라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지만 많은 레포트들에서 거론된 이유는 본드스왑 포지션(국채 선물 매수 + IRS Pay)의 청산이다 ->(국채선물 매도 + IRS Receive) 실제 5년 본드스왑 스프레드는 연초부터 -8 ~ -13bp 범위에서 유지되다 최근들어 마이너스 폭이 확대되기 시작해 -21bp까지 벌어지시 시작함 당연히 외화(달러)가 많은 외인들이 Cross Rate Swap을 통해 원화로 환전하고 한국시장으로 들어온 외인 입장에서, IRS.. 더보기